이 포스팅에서는 변수의 정의, 자료형의 정의, 종류, 생성방법에 대해 적도록 하겠습니다.
변수란?
값을 저장하는 공간
만약 a=5와 같이 변수를 만들었다면 5라는 값을 저장하기 위해 컴퓨터 메모리에 공간을 할당받고 그 공간에 5라는 값을 저장한 것이다.
그 공간을 변수라 하고 이름을 a라 정한 것이다.
자료형(data type) 지정
값의 종류
프로그램이 실행되려면 컴퓨터가 각 변수에 어떤 종류의 값이 들어가 있는지 알아야 한다.
값의 종류에 따라 값을 저장 방식이나 계산 방법이 다르기 때문이다.
파이썬은 변수에 저장된 값을 스스로 판단하여 자료형을 지정해 준다.
자료형의 종류: NoneType, bool, int, float, complex, str, tuple, list, dict, function등..
NoneType: 값이 없는 변수를 생성할 때 사용하는 자료형이다.(None)
bool: 참(True)과 거짓(False)을 나타내는 자료형이다.
int: 정수형 자료형
float: 실수형 자료형
complex: 복소수 자료형
str: 문자열 자료형
function: 함수 자료형
여러가지 값을 한번에 저장하고 관리하고 싶을 떄는 tuple, list, dict자료형을 사용한다
튜플: () , 리스트:[], 딕셔너리: {}
변수를 생성하는 방법
변수 이름 = 변수에 저장할 값
한번에 여러 변수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타입별 변수 선언
값을 주지 않으면 변수는 생성되지 않는다.(만약 값을 주지 않고 변수를 생성하고 싶을 때는 None을 넣어준다.)
NoneType
이번 포스팅에서는 변수와 자료형에 대해 간단히 적어 보았습니다.
추가적인 내용이 있으면 수정해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제 글은 제가 메모장처럼 사용하기 위한 목적이기 때문에 다른 곳에서 긁어온 글이 있을 수 있습니다.
'코딩 > Python메모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문자열 내장 함수 (3) | 2022.10.04 |
---|---|
(Python)문자열 포매팅(Formatting) 기법 (1) | 2022.10.04 |
(Python)문자열(String) 자료형, 연산, 인덱싱, 슬라이싱 (2) | 2022.10.03 |
(Python)숫자형(Number) 자료형, 연산(사칙연산, **, %, //) (0) | 2022.10.03 |
(Python)시작하면서 (0) | 2022.09.27 |
댓글